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, 부정적 사고의 반전!

Picture of 이화마인드바디연구소
이화마인드바디연구소

건강한 화?

부정적인 건 안 좋은 거 아닌가?

“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”

가보 마테 박사

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, 부정적 사고의 반전!

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

이 책은 이번 달 저희 회원님들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독서모임의 주인공입니다.

(물론 희망자에 한 해 하고 있죠)

제목이 암시하듯..

케케 묵힌 감정이 어떻게 병으로 되는지..에 관한

절대 가볍지 않은 책이었어요.

저는 최근 된통 감기를 앓으며 부득이하게 며칠 휴강을 하였는데요.

솔직히

요가하면

스트레스 지수가 낮아지니

면역력이 높아져요!

를 외치던 제가 감기에 걸렸으니…

골골…

하는 모습이 어떻게 비칠까..

하는 속 시끄러운 갈등에 시달렸어요.

하지만 과감히 며칠 휴강하면서 미뤄두었던 독서에 몰입하였고, 다행히 책 속의 지혜를 건져내었으니,

이젠 속시원히 그 후기를 간단하게나마 적어보려 합니다.

안녕하세요?

이화마인드바디연구소 최두연 Dooy입니다.

저에 대한 소개는 아래 글에 담겨 있으니, 꼭 한 번 읽어봐주시면 좋겠어요.

梨花(이화)

널리 이롭게 하다

이 책은 사실 출간된 지 좀 되기도 했고,

내용 자체가 무겁다 보니…

아, 다른 책을 했어야 했나..

하는 내적 갈등을 내내 가졌었는데요.

이제 다 읽고 나니, 참 읽기를 잘했다..는 생각이 드네요.

내 안의 감정과 건강에 대해

깊이 성찰하는 시간

읽는 내내 마음이 무거우면서도,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

“아, 내가 놓치고 있던 건

이거였구나”

는 깨달음이 찾아왔거든요.

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

부정적 사고의 힘. 그 진짜 의미

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

마테 박사는 부정적인 사고의 힘

슬프고 비관적인 시각이 아닌

대인관계 속에서 내 몫을 인정하는 것,

그리고 우리가 믿고 싶은 것만큼 강하지 않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.

인간의 나약함은 부끄러운 것이 아닌 자연스러운 모습일뿐더러,

우리 모두가 강하면서도 도움을 필요로 하는 존재라고요.

또한 모든 일을 다 잘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에서 진정한 치유가 시작된다고 말하죠.

건강한 화, 경계를 지키는 힘

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

“건강한 화는

보강이면서 이완이다”

책의 이 문장을 읽으며, 저는 최근 친정 언니와 있었던 에피소드가 떠올랐어요.

사업을 준비하던 시절, 언니에게 서운한 감정이 쌓이다, 급기야 차 안에서 “찐자매 토크”가 터졌거든요.

10분간의 유치한 싸움 끝에 오히려 묵은 응어리가 쑥 내려가던 경험!

안으로는

부정적 감정을 쌓이면서

겉으로는 고상한 척..

하는 것이 아니라,

날 것 그대로, 유치찬란하게 싸우다 피식 어느새 실소가 나오자,

가슴을 채우던 분노가 사르르 사라지는 느낌이랄까요.

그 일을 겪으며 깨달았어요.

감정에 솔직하고, 최소한의 바운더리를 지킨 건강한 싸움이 얼마나 홀가분한 감정을 주는지를요.

마테 박사가 강조한 “건강한 화”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.. 싶어

마주한 이 문장에서 쎄게 고개를 주억거렸네요.

마테 박사는 치유의 7가지 A를 제안하는데요.

다음과 같습니다.

치유를 위한 7가지 A

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

이는 우리에게 회복과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.

1. Acceptance(수용) – 현재를 체념이 아닌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

2. Awareness(인식) – 잃어버린 감정 인식능력을 되찾기

3. Anger(화) – 통제된 상황 속에서 건강하게 화를 경험하기

4. Autonomy(자율) – 나의 욕망·한계를 파악해 자율적 바운더리 세우기

5. Attachment(애착) – 세상과의 연결, 상호적 인간 욕구 존중하기

6. Assertion(주장) – 존재에 대한 선언, 자신의 가치 평가하기

7. Affirmation(확인) – 내면의 창조적 자아를 밖으로 나오게 하기

건강은 신체·심리·영적 연결이라는 세 가지 기둥 위에 세워진다

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

라는 메시지가 가슴에 진한 울림으로 남았습니다.

어쩜 이렇게 A에서

잘 찾아내셨을까요?

매일의 성찰이 주는 힘

이 책은 “긍정적인 사고”만을 강요하지 않습니다.

대신 내 몸이 무엇을 거부하고 있는지를 묻고, 그 공허함을 직접 경험하도록 우리를 초대하지요.

“정직한 태도로,

연민을 품고,

모호하지 않은 밝은 눈으로

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

매일매일 성찰하자.”

그래도 얼마나 다행인지요?

저는 요가와 명상을 매개로 늘 돌아보는 삶을 실천하려 애쓰고 있으니까요.

이 다짐이 제 삶과 이화마인드바디연구소의 회원님께도 깊게 스며들 것이라 믿습니다.

저희 이화마인드바디연구소에서는 요가와 명상 그리고 사운드테라피를 통해

감정 조절, 마음 근력, 자기조절력을 기르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부정적인 감정도 건강하게 바라보고,

내 몸과 마음을 동시에 회복시키는 시간을 갖고 싶으시다면

언제든 편하게 문의하세요.

문의는 톡톡이나 전화 다 가능합니다만,

수련 중에는 연결이 어려우니 제가 곧 다시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센터소식 최신글